
Terraform VS Google Deployment Manager Terraform은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게 해주는 도구이다. (Infra as Code) 사실 GCP에는 Deployment Manager 라는 훌륭한 Infra as Code 서비스가 있는데 굳이 Terraform을 쓸 필요가 있나 싶기도 하다. 하지만 둘다 장단점이 있다. Terraform 같은 경우 지원하는 리소스만 사용가능하기에 GCP의 alpha, beta version의 리소스들을 사용할 수 없다. (수정: Google 과 Hashicorp 의 협업을 통해 1.19.0 버전부터는 beta 버전의 리소스도 사용이 가능하다. 자세한 버전 정보는 Google Provider Versions 링크를 참고) 또 Deployment ..

개인적으로 nano 에디터나 Google Cloud Shell 에서 제공하는 소스 에디터보다 vim을 선호합니다. vim 설정 자체는 일반 linux에서 설정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다만 Cloud Shell 은 다음과 같이 간단한 자체적인 terminal 환경 설정을 제공하는데 vim의 colorscheme 설정을 따로 안해줄 경우 terminal color themes 에 따라 vim의 color scheme이 변경됩니다. Cloud Shell 에서 default 상태로 vim 에디터를 사용한 분은 아시겠지만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default 테마와 폰트 컬러가 굉장히 눈 아픕니다. String과 상수들이 빨간색으로 나오는데 String 많이 포함된 소스 열어보면 알아보기도 힘들고 정말 눈아파요. ..

상반기 회고 2019년 새해 목표 중 하나가 클라우드 공부였습니다. Cloud의 C도 모르는 상태였는데 더 늦으면 안될것 같다는 불안감이 있었습니다. 일단 public cloud 를 알아야할 듯해서 AWS, Azure, GCP 중 고민하다 GCP로 공부를 했습니다. 신세계였어요. 클라우드가 얼마나 많은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지 구체적인 사례와 서비스들을 학습하고 사용해보며 흥분 했었습니다. 아 진작에 공부할껄 이런걸 나만 모르고 있었구나, 겁먹지말고 조금 더 일찍 시작할 껄 하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모르던 분야, 제게는 새로운 분야의 학습이라 시간가는지 모르고 즐겁게 공부한 것 같습니다. 현 직장에서 개인 프로젝트 외에는 실제 운영환경에서 public cloud 사용할 기회가 없어서 일단 홀로 학습하였..

GCP를 사용한 시스템 디자인과 On-premise에서 클라우드로 전환시 시스템 설계 등을 공부하다보면 네트워크 관련 공부를 많이 하게 됩니다. 마침 Google Cloud Certified Professional Network Engineer 자격증의 출제범위와 공부 내용이 많이 겹쳐서 겸사겸사 시험에 응시하여 운좋게 합격 했습니다. Global scale의 클라우드 분산 시스템을 디자인하거나 Hybrid 클라우드 시스템을 디자인할때 각 네트워크 구성요소들과 아키텍처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스팩들에 대해 모르면 High-Level Architecture 설계 단계부터 실현 불가능한 아키를 설계하게 된다던지 적절하지 않은 component 사용으로 성능과 비용이 증가하고 보안에 취약한 아키를 설계하는 등의..

이 포스팅은 Google Cloud 공식 Document와 Coursera의 Networking in GCP: Defining and Implementing Networks 강의를 요약 정리 한 것 입니다. SSL Proxy Load Balancing SSL proxy는 유저의 SSL connection을 Load Balancing layer에서 종료하고 SSL이나 TCP 프로토콜을 통해 backend instance로 트래픽을 전달합니다. 트래픽이 HTTP(S)이 아닌 경우에 사용되며 HTTP(S) 트래픽은 HTTP(S) load balancing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IPv4, IPv6를 모두 지원하며 Global load balancing이 가능합니다. Global load balancing을..

Load Balancing (이하 LB)는 분산 시스템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 입니다. 서버 cluster에 traffic을 분산하여 성능과 가용성을 높이고, 주기적으로 서버들의 상태를 체크하여 부하가 높거나 에러가 발생하거나 반응이 늦는 서버 쪽으로 traffic을 보내지 않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GCP의 Cloud Load Balancing은 여러가지 타입의 LB를 제공하는데 각 타입별 용도가 상이하고 요구 사항도 다르기 때문에 클라우드 시스템 설계시 어떤 LB를 사용해야 하는 지 확실히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GCP Documentation과 Coursera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Google Cloud Load Balancing에 대해 정리한 것 입니다. HTTP Load Bal..

지난주에 GCP 3종 자격증 중 마지막으로 Professional Cloud Architect를 취득 하였습니다. 이미 Cloud Engineer 와 Data Engineer 자격증을 준비하면서 몇달간 GCP에 대한 공부를 해왔던 상황이여서 Case Study 와 모의고사만 추가적으로 1주일 정도 준비하여 합격 했습니다. 시험가이드와 Case Study 페이지에 가시면 시험 outline과 Case Study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ase Study 문제 비중이 약 30% 나 되는데 공식가이드에 제공된 3가지 Case Study에서만 나오니까 머리속에 달달 외울정도로 숙지하고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공식 모의고사와 LinuxAcademy의 Google Cloud Certified Professiona..
- Total
- Today
- Yesterday
- 아마존 이직
- 구글 입사 후기
- expect 스크립트
- Terraform GCP
- AWS 입사
- GCP 자격증 후기
- AWS TECH U
- TECH U ASA
- AWS 인터뷰
- gcp 자격증
- AWS 이직
- AWS 후기
- GCP 이직
- AWS 면접
- AWS 문화
- oracle
- AWS 신입
- AWS Associate Solution Architect
- 오라클
- Terraform
- dbio
- 2022 회고
- 뱅크샐러드 면접
- 프로프레임
- AWS 신입 채용
- AWS 취업 후기
- ProFrame
- 아마존 입사
- SA란
- 구글 이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