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pcs -ma 명령어로 shared memory 주소를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정상 기동 여부 확인이 가능하다.
TCache
TDL shared memory
TMAX
운영기의 경우 위 3가지 체크로 기동여부 확인 가능하고
개발기의 경우 추가적으로 제우스와 로그서버, 뷜드서버의 기동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ps -ef | egrep 'jeus|LogServedr|PfmBuildServer')
ipcs -ma | grep 유저명 | grep -v D-
m 20972398 0x00070015 --rw-rw-rw- proframe tmax proframe tmax 0 402685000 13697404 13697404 13:22:29 13:22:30 13:22:29
m 11535241 0x0002888b --rw------- proframe tmax proframe tmax 23 16384 18546708 9961612 14:58:21 15:31:46 13:22:13
m 9438090 0x00028889 --rw------- proframe tmax proframe tmax 23 111968 18546708 9961612 14:58:21 15:31:46 13:22:13
m 10486667 0x0002888a --rw------- proframe tmax proframe tmax 23 3238192 18546708 9961612 14:58:21 15:31:46 13:22:13
m 9438093 0x00090910 --rw-r----- proframe tmax proframe tmax 15 41099304 22151254 11862244 13:22:14 13:18:41 13:18:34
m 13632398 0x00028888 --rw------- proframe tmax proframe tmax 23 552652 18546708 9961612 14:58:21 15:31:46 13:22:13
위 케이스는
Tcache key는 0x70015
TDL key는 0x90910
TMAX key는 0x28888 (28888 부터 4개 사용. 28888, 28889, 2888a, 2888b)
각 key 값 설정은
$PFMCFGDIR/pfmtcache.cfg
$TDLDIR/config/tdl.cfg
$TMAXDIR/config/tmconfig.m
에 등록되어 있으며
key값을 헥사값이 아닌 상수로 지정했다면 (ex> SHMKEY=7990) ipcs 명령어 수행시 아래와 같이 key 값은 16진수 핵사값 (0x13876)으로 변환되어 보인다.
m 20972398 0x00070015 --rw-rw-rw- proframe tmax proframe tmax 0 402685000 13697404 13697404 13:22:29 13:22:30 13:22:29
m 11535241 0x00013879 --rw------- proframe tmax proframe tmax 23 16384 18546708 9961612 14:58:21 15:31:46 13:22:13
m 9438090 0x00013877 --rw------- proframe tmax proframe tmax 23 111968 18546708 9961612 14:58:21 15:31:46 13:22:13
m 10486667 0x00013878 --rw------- proframe tmax proframe tmax 23 3238192 18546708 9961612 14:58:21 15:31:46 13:22:13
m 9438093 0x00090910 --rw-r----- proframe tmax proframe tmax 15 41099304 22151254 11862244 13:22:14 13:18:41 13:18:34
m 13632398 0x00013876 --rw------- proframe tmax proframe tmax 23 552652 18546708 9961612 14:58:21 15:31:46 13:22:13
프로세스가 비정상 종료되어 (kill로 강제로 프로세스 죽이기 등) shared memory 가 정상적으로 삭제되지 않았다면
ipcrm -m 메모리ID 로 해당 메모리를 지워준다.
'Framework > ProFra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Frame 예제 실습] 상주배치 만들기 (0) | 2018.11.23 |
---|---|
[ProFrame C] 출력전문 data 밀림현상 (10byte 000000000) (0) | 2018.11.06 |
[ProFrame C] core 분석 (0) | 2018.10.29 |
[ProFrame C] 프로프레임에서 DDL문 사용 (0) | 2018.08.29 |
[ProFrame C] TCache 초기화 (pfmTCacheInvalidate api 사용법 및 주의사항) (0) | 2018.08.22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구글 이직
- 프로프레임
- AWS 취업 후기
- AWS 신입
- 오라클
- 2022 회고
- AWS TECH U
- Terraform
- 구글 입사 후기
- oracle
- gcp 자격증
- AWS 문화
- 뱅크샐러드 면접
- AWS 면접
- SA란
- 아마존 입사
- AWS 신입 채용
- dbio
- AWS Associate Solution Architect
- AWS 후기
- GCP 자격증 후기
- AWS 입사
- ProFrame
- AWS 인터뷰
- 아마존 이직
- AWS 이직
- GCP 이직
- TECH U ASA
- Terraform GCP
- expect 스크립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